주요 강의내용
- Python 변수와 자료형
- 파이썬 메모리 사용과 자료형
- 리스트(List)
- 집합(Set)
- 튜플(Tuple)
- Strings
- Python 반복문과 조건문 그리고 함수
- 조건문
- 반복문
인상 깊었던 세부 내용
- python에서도 메모리 단에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는 점이 신기했으며, 그간 혼자 공부하며 나도 모르게 제한된 정보에서 공부하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.
- C에서는 당연하게 메모리, 비트 단위로 코드를 짜보는 일이 있었지만, 틈틈히 python 을 독학하는 과정에서는 이런 레벨보다는 좀 더 일상적이고 쉬운 접근만 있었다.
import sys
a = [1,2,3]
b=a
print(id(a))
print(id(b))
del a # MEMORY 삭제
sys.getrefcount(b) #참조 카운팅
- 리스트(list)와 딕셔너리(dict) 의 자료형에 copy() method
- 혼자 공부할 때는 왜, 어디에 써야 하는지 궁금했던 method였는데 강사님께서 원본 Data를 유지한 채 작업할 때 필요하며 ai 현업에서 은근 많이 쓰인다고 해서 인상 깊었다.
- Excel 작업 시, Backdata 남겨 두는 것처럼 필요할 것 같다고 생각한다.
- 집합(set)
- 중복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순수하게 value값에 대한 계산이 필요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 같다.
- method : remove() vs discard()
- error 발생의 유무가 상황에 맞춰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.
'[SeSAC] Huggingface를 활용한 인공지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eSAC] 청년 취업사관학교 새싹 (SeSAC) Huggingface를 활용한 인공지능/LLM 개발자되기 1일차 2024.06.26 (0) | 2024.06.26 |
---|